본문 바로가기
Money

간단하고 쉬운 DSR 계산 방법으로 케이뱅크 활용 강력 추천!

by Chans_2 2025. 3. 25.

나는 흔히 언론에서 말하는 2030 영끌족이다. 그래서 매달 나가는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서 이자율이 낮은 대출로 갈아타기 위해서 대환대출을 해보려고 했었지만, 은행에서 DSR 한도가 초과했기 때문에 대환대출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들었다. 그 이후에는 조금씩 대출을 갚아나가면서 중간중간 간단하고 쉬운 DSR 계산 방법을 찾아서, 대환대출을 할 수 있을 때가 되었는지 직접 확인하려고 했다.

그렇지만 생각보다 DSR 계산 방법은 굉장히 복잡했다. 인터넷 검색을 했을 때 흔히 나오는 DSR 계산기는 직접 가지고 있는 모든 대출을 입력해야 하고, 특히 그 대출이 어떤 종류의 대출인지도 하나하나 입력해야 한다. 사실 근본적으로 돈을 빌린다는게 중요하지, 내가 가지고 있는 대출이 어떤 종류인지 일일이 상세히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그래서 내가 열심히 찾아낸 간단하고 쉬운 DSR 계산기를 오늘 소개해드리고자 한다. 바로 케이뱅크 내에 있는 “내 DSR 계산기” 기능이다. 더불어 DSR이 무엇인지, 어떤 측면에서 중요한 것인지도 간단히 정리해본다.

 

DSR(Debt Service Ratio)의 개념과 정의

 

 

 

2018.10.31 기사 <내일부터 DSR 규제 적용···"갚을 수 있는 대출만">

 

 

내일부터 DSR 규제 적용···"갚을 수 있는 대출만"

KTV 국민방송

m.ktv.go.kr

 

DSR은 한글로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고, Debt Service Ratio의 약자이다. 이 제도는 2018년 11월에 처음 도입되었다. 빚을 내서 주택 부동산을 구매하는 행태가 만연하다보니,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 부채 증가가 모두 너무 과다하다는 판단 하에 대출한도를 정하는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DSR의 개념은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다. DSR은 한 사람이 1년 동안 갚을 빚의 원금과 이자를, 1년 동안의 총 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예를 들어서 간단하게 보자면, 1년 총 소득이 1억원인 사람이 1년 동안 갚아야 하는 원금과 이자의 합계가 3천만원이라면 DSR은 30%가 된다. 보통 1금융권 대출만으로는 DSR 40%까지 가능하고, 2금융권 대출까지 합해서는 5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여기에 최근 정부에서는 스트레스 DSR라는 개념을 더해서 실제 금리보다 더 높은 금리를 붙여서 DSR를 계산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실제로 납부하는 이자보다 더 많은 금액을 상환액으로 산정하게 되는데, 이는 DSR를 높여서 총 대출 한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대출 종류와 상환방식에 따른 DSR 계산방법

 

 

 

 

DSR을 계산할 때 대출기관에 실제로 납입하는 금액 모두를 넣어서 계산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대출기관에 내는 이자는 모두 DSR에 포함된다. 그렇지만 원금은 특별한 산식을 적용해서 계산한다. 예를 들어서 전세자금대출은 원금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반적인 신용대출 중에 대출 만기일에 한꺼번에 상환하는 방식의 대출을 받았다면, 대출 전체 금액을 5년으로 나눈 금액을 한 해 동안 갚는다고 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연 4% 금리로 4천만원을 대출 받고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하는 방식이라면, 연간 이자 160만원(4천만원 X 4%), 그리고 연간 원금 800만원(4천만원 나누기 5년)을 DSR에 포함해서 계산해야 한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대출이 어떤 종류인지 알고 있다면, 아래의 부채산정방정식을 참조하여 직접 계산해볼 수 있겠다. 그렇지만 본인이 갖고 있는 대출이 대략은 어떤 종류인지 알 수 있긴 하지만, 대출의 종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분들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렇기 때문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DSR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부분이다.

 

한 번 직접, 할 수 있는지 체크해보시면 좋을 것 같다.

 

[DSR, 신 DTI 계산 - 부동산 계산기] 바로가기

 

간단하고 간편한 케이뱅크의 대출 DSR 계산기

 

 

 

 

케이뱅크에서 대출 DSR 계산기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딱 두 가지이다. 케이뱅크 고객이 되는 것 그리고 자신의 연봉을 아는 것. 이것만으로 굉장히 쉽고 간단하게 DSR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럼 실제로 사용해본 내용을 공유해보겠다.

 

케이뱅크를 켰을 때 “전체” 메뉴를 누르면 ”내 DSR 계산기“를 확인할 수 있다. 들어가면 DSR에 대한 정보도 간단히 있으니 참조할 수도 있다.

 

바로 “내 DSR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보면 다른 모든 금융사에서 대출 정보를 끌어오는 것에 대한 동의를 하고 나면, 바로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대출을 보여준다. 정확하게 모든 대출이 잘 소환되었는지 확인하면 되고, 대출을 눌러보면 대출의 종류와 연간 원금과 이자 상환액이 얼마인지도 정확하게 알려준다. 이 정보를 통해서 각각의 대출이 DSR 계산 시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렇게 나의 대출을 확인한 결과, 1금융권에서는 대출을 할 수 없는 수준의 DSR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수준으로는 그 어떤 대환대출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나는 얼른 열심히 일해서 대출금을 먼저 갚아야 하는 상황이다.

 


정리하며

요즘은 사람들이 열심히 대출을 해서 부동산을 사려고 하는 분위기는 아니긴 하다. 그래서 DSR 계산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이 예전만큼 많지는 않은 것 같다. 그렇지만 이미 대출이 있는 사람들, 특히 나처럼 DSR이 높은 사람들은 얼마나 대출금을 상환해야 하는지 체크할 필요가 있다. 그때마다 DSR 계산을 위해서 일일이 대출 잔액, 이자, 종류를 확인하고 입력하는 것은 굉장히 번거롭고 불편하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케이뱅크의 DSR 계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다들 본인의 금융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케이뱅크의 이 쉽고 간단한 DSR 계산기를 많이 쓰면 좋겠다.